분류 전체보기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군을 부러워 하지 않아도 되는 방탄헬멧 개발성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탄소 섬유 신규투자 협약식'에 참석하여 조현준 효성 회장 과 그외 참석자들과 함께 효성이 개발한 방탄헬멧과 방산장비를 둘러보았습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책임 있는 경제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핵심소재의 특정국가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당시 소개된 효성이 만든 방탄헬멧은 현재 선진국에서 쓰고 있는 방탄헬멧보다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 정부와 군은 2003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이라는 재질로 만든 신형 방탄헬멧을 개발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성능에 의문을 제기하는 불평의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개발당시 미군이 1980~1990년대에 사용하던 '아라미드'재질의 PASGT(육군 개인방호체계)헬멧보다 .. 영국 육군 특수부대SAS가 세계1위인 이유 SAS(Special Air Service)는 1941년 창설된 영국 육군 특수부대로 대테러부대의 아버지, 최초의 현대전 대테러부대로 불리며 세계최고의 특수부대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 유명한 서바이벌 프로그램 의 진행자인 베어 그릴스(Bear Grylls)와 카메라맨인 대니 케인과 샤이번 레이 모두 SAS 출신으로 프로그램에서 이들을 보게 되면 SAS 위염을 엿볼수 있습니다. - SAS의 창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제8코만도 소속 데이비드 스텔링 대위는 중동지역에도 유럽지역처럼 낙하산으로 침투하는 코만도 부대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여 창설되었습니다. 중동 코만도의 6개 소대 중 제1,2소대가 낙하산 침투부대로 편성되었고 대외 명칭은 공수특전(Special Air Service)L 파견대 였는데 S.. 6.25 전쟁에 큰 공을 세운 KLO부대는 얼마의 보상을 받을까 우리나라의 뼈아픈 과거 6.25 전쟁에서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작전인 인천상륙작전에서 가장 큰 공을 세웠던 KLO부대가 개인 기록이 없어 보상과 서훈이 불가능하며 국가가 소집한 것이 아닌 자생적 미군 산하 단체로 국가가 보상할 책임이 없다는 점을 들어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해 안타까움을 전하고 있습니다. 1948년 8월 미국 극동군사령부 정보처에서 대북첩보 활동을 위해 켈로(KLO)부대 만들었습니다. 미국이 북한 지역의 지리와 언어를 알기 힘들기 때문에 주로 서북청년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북출신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KLO(Korean Liaison Office)는 번역하면 "한국 연락 사무소","한국 연락반","주한 첨보 연락처"로 특수부대적 성격을 가리고 평범한 통신.. 우리 장병들의 개인화기 K2가 퇴역하는 이유 30년간 우리 장병들의 개인화기였던 K2 소총이 2020년이면 현역에서 물러나 예비군용으로 퇴역하게 됩니다. 장병 자신을 보호하는데 사용되어 '최후의 무기'라고도 불리는 소총은 군인이라면 기본적으로 휴대하는 개인용 화기로서 전장에서 돌격 사격이나 방어 사격 등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절대 떼놓을 수 없는 무기 입니다. - K2 개발 역사 - 1966년 베트남 파병당시 M1 개런드 소총을 가지고 파병되었으나, 현지에서 미군으로부터 M16A1소총을 받아 교체 하게되었으며 M16 소총은 M1에 비하여 휴대성이 좋았는데 이는 20발 탄창 5.56mm 경량탄환을 사용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후 우리 정부는 1968년 5월 27일 제1차 연례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통해 한국의 자위력 강화의 일환으로 M.. 누구나 명사수로 만들어 주는 워리어 플랫폼 육군이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을 비장의 카드로 내세웠습니다. 워리어 플랫폼은 태어나서 총을 한 번도 쏘지 않은 이도 명사수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워리어 플랫폼'이란 육군의 워리어(전투원)이 갖고 다니는 총기,군복,장비를 일컫는 플랫폼(체계)으로 전투복,방탄복,방탄모,수통,조준경,소총 등 33종의 신형 전투 피복과 전투장비로 구성된 육군의 미래 전투체계를 말합니다. '개인전투체계,미래기술을 만나'라는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워리어 플랫폼 발전 로드맵을 공개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날 공개한 로드맵에 따르면 워리어 플랫폼은 1단계(2023년)-> 2단계(2025년)-> 3단계(2026년 이후)로 나눠 추진된다고 공개하였습니다. 1단계는 개별조합형 플랫폼을 개선하고 2단.. 미군 B-2 폭격기가 세상에서 가장 비싼 비행기인 이유 날아가는 화살의 화살촉에 비유하기도 하는 B-2 폭격기는 항상 공습의 최일선에 나서게 되어 미군의 공습이 시작되면 언론에서 가장 먼저 언급하는 군용기 입니다. B-2를 먼저 공습에 이용하는 이유는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래식 무기와 핵무기 모두 운용이 가능하며 긴 항속거리와 대량의 폭탄장착이 가능하여 적의 방공망을 몰래 뚫고 들어가 레이더 시설이나 주요방어시설을 무력화 시키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B-2의 개발은 동서냉전이 고조되던 1979년 미공군은 선진기술폭격기(ATB)로 알려진 새로운 폭격기의 개발 사업을 시작하며 1982년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지만 극비리에 진행 되었습니다. 1988년이 되어서 존재를 공개 하였고 1989년 최초 비행에 성공하였습니다.. 최강 화력 아이오와급 전함의 활약과 퇴역한 이유 20세기 중반까지 전함(Battleship)은 열강의 상징처럼 여겨진 엄청난 무기였습니다. 적의 공격을 전부 버텨내며 한방에 적을 수장시켜버릴 수 있는 화력을 같이 갖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덩치가 크고 만들기 까다로웠으며 함포의 사거리 밖에서 부터 공격을 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등장하면서 상대의 공격을 몸으로 받아내며 거포로 응사하는 해전 방식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제 1차 대전이 끝난 후 1922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호 해군력 감축이 시작되었는데 이때 핵심 규제 대상은 거함의 상징인 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이 불만이 많았고 결국 조약탈퇴 후 유예기간이 끝나자 마자 해군력 확대에 나섰고 사상 최대의 전함인 야마토급을 건조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이 사라질뻔했던 몰락작전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은 미국의 리틀보이와 펫맨 이 두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지면서 무조건 항복을 외치며 전쟁에 종지부를 찍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색이 짙어졌지만 쉽게 항복하지 않고 섬에 흩어져서 게릴라전을 펼치기도 하며 결사항전을 펼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미군은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 하고도 항복을 받아내지 못할 경우에 대해 대비책을 세우게 되었는데 바로 이 작전 이름이 이었습니다. -1945년 11월1일을 기해 미국 500만명과 영군군 100만명이 일본 본토에 상륙, 점령작전에 들어간다. 작전 기간은 최대 2년. 필요하면 원자폭탄을 7발까지 투하한다-미국이 구상했던 몰락작전의 목적은 일본을 지도상에서 삭제해버리는 계획이었습니다. 서구 국가끼리 전쟁에서 전사자.. 은폐속에 묻힐뻔 한 영화 실미도의 주인공 684부대 1968년 1월 21일 엄청난 충격을 가져온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바로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수다"로 유명한 으로 북한 무장공비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서울로 침투하였고 총 31명중 투항한 김신조 단 한사람만 살아남고 2명은 도주 28명은 모두 사살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박정희 정부는 북한에 보복할 목적으로 무장공비 수와 같은 31명을 모집해 '김일성 거처 습격'등의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당시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이 회고록에서 684부대는 박정희의 재가를 받아 본인이 만들었다고 밝혔으며 2005년 국방부 '실미도 진상 조사 TF'를 통해 중앙정보부가 창설했고 공군이 관리했다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당시 생포된 김신조의 모습 - "6개월만 참으면 호강시켜 준다"-684의 의미.. 2020년 세계 군사력 순위 TOP 10 한 나라의 군사력을 비교하는 지표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에서 2020년 세계 군사력 순위를 발표하였습니다.GFP 군사력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강하다는 의미이며 병력과 무기 수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전쟁을 수행할 경제력과 비상동원가능 전력 등을 합쳐 순위를 정합니다. 그러나 핵무기 같은 비대칭 전력이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때문에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하기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기 때문에 이는 절대적 순위가 아님을 생각하며 보아야 합니다. 10위 브라질 (전력지수 0.1988점 / 작년 13위)군사력 순위에 처음으로 등재되었으며 아르헨티나와의 적대관계 때문에 항상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습니다. 5번째로 넓은 영토를 보유하고 2억명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으며 현역 군인은 .. 이전 1 다음